1. 사용자가 주소창에 URL 주소 입력
웹 브라우저가 URL 해석
2. DNS 조회
URL 주소중 도메인네임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 =>
도메인 네임 해당 IP 주소 반환
- Domain Name Server :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 네트워크 주소 바꾸거나, 변환해줌
3 웹 서버에 HTTP 요청 메시지 생성
받은 IP => HTTP 프로토콜 사용 => HTTP 요청 메시지 생성
TCP 프로토콜 사용 => 인터넷 거침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
HTTP :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TCP : 네트워크의 정보 전달을 통제하는 프로토콜
4.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
웹 서버에서 URL 정보 해당하는 데이터 검색 =>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
TCP 프로토콜을 사용 => 인터넷 => 원래 컴퓨터로 전송
5. 웹 브라우저가 그리기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 => 웹페이지 데이터로 변환 됨
서버가 리소스 (HTML, CSS, JS 등) 제공하면 브라우저가 프로세스 수행
// 구문분석 - HTML, CSS, JS
렌더링 - DOM Tree 구성 -> 렌더 트리 구성 -> 렌더트리 레이아웃 배치 -> 렌더트리 그리기
참고자료
https://owlgwang.tistory.com/1
http://tcpschool.com/webbasic/works
'바닐라코딩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 (0) | 2020.02.16 |
---|---|
정렬 알고리즘 피드백 (0) | 2020.01.27 |
async 과제 리뷰 (0) | 2020.01.13 |
개발공부시 참고사항 (0) | 2020.01.12 |
js 연습문제 (0) | 2020.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