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커 이미지 생성 순서
- 도커 파일 작성
- 도커 이미지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 도커 클라이언트
- 도커 파일에 입력된 명령어들이 전달 됨
- 도커 서버
- 실제 작업을 진행
- 이미지 생성
2. 도커 파일 만들기
# dockerfile
# 베이스 이미지 명시
FROM ...
# 추가적으로 필요한 파일 다운로드
# 도커 이미지 생성 전 실행 됨
RUN ...
# 컨테이너 시작시 실행 명령어 정의
# 도커 파일 내 1 번만 사용 가능함
CMD ...
베이스 이미지란?
- 도커 이미지는 여럿 레이어로 구성 됨
- 이미지의 기반이 되는 부분 (OS)
3. 도커 파일로 도커 이미지 만들기
빌드 명령어: docker build ./ or docker build .
빌드 과정
(1) 이미지를 가져옴
(2) 임시 컨테이너 생성
- 임시 컨테이너에서 하드 디스크에 스냅샵, 시작 시 실행 명령어 추가
- 이후 임시 컨테이너 제거
- 새로운 이미지 생성
p.s)
빌드 명령어 결과에서 생략된 step 항목 보려면 해당 커맨드 입력 해야함
sudo DOCKER_BUILDKIT=0 docker build -t dir .
4. 이미지에 이름 지정
docker build -t 이름/프로젝트 이름:버전 .
ex)
docker build -t nathaneast/hello:latest .
# 지정한 이름으로 실행
docker run -it nathaneast/hello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docker, aws, github action 실습 (0) | 2024.06.09 |
---|---|
5. docker compose (0) | 2024.05.15 |
4. node.js로 도커 실행 실습 (0) | 2024.05.06 |
2. 도커 클라이언트 명령어 (0) | 2024.04.22 |
1. 도커 기본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