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2)
이벤트핸들러 1회 적용 후 제거 function aaa(){ alert('사용자함수 실행'); } element.addEventListener("click", aaa); element.removeEventListener("click", aaa); - 사용자 함수를 제거 익명함수를 사용했다면 ? element.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alert('익명함수 실행'); this.removeEventListener("click",arguments.callee); }); 참고 블로그 http://bamtol.net/v5/bbs/board.php?bo_table=pp_js&wr_id=45
Closure ,Recursion ,Call Stack , Closer -함수가 본인이 생성된 곳의 주변 환경을 기억한다. //부모 함수에 자식함수 생성됨 //부모 함수의 실행내용 { } 중괄호 안의 변수,인자 등 주변 환경을 함께 기억한다 //함수가 실행되는 위치는 어디든 상관 없음 - 내부 함수에서 외부 함수 변수에 접근하는것 //함수 실행식 안의 변수, 함수 - 함수가 실행되면 스코프 정보가 생긴다 - 부모함수에 선언된 자식함수에서 부모함수에서 선언된 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 - 스코프는 함수단위로 저장됨 변수를 찾을때 들여다보는 표가 스코프 스코프체인 : 스코프끼리 연결되어있다 - Recursion (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 하는 함수 ex ) factorial - Call Stack 함수 실행 => 아래 칸이 쌓임 함수 종료 => 칸 제거 참고 블로..
기계어 ,어셈블리어 , Interpreted Language - 기계언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2진 숫자로 이루어진 언어 코딩한것을 컴파일러하여 기계어로 변환 해주어야 컴퓨터가 인식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음 - 어셈블리 언어 기계어를 사람이 보기 쉽게 문자를 기호화 하여 나타냄 명령을 세세하게 지정 해줘야함 - Interpreted Language 필요한 순간 번역 후 컴퓨터에 전달 ,명령 Interpreter 내장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 ex ) js
scope ,hoisting ,primitive ,reference scope 변수에 접근 가능한 범위 지역 변수에서 데이터타입 var 붙이지 않으면 전역변수가 됨 가급적 전역 범위 변수 생성 피하기 내부 => 외부 접근 가능 외부 => 내부 접근 불가 내부와 외부를 판별하는 기준 : 함수 hoisting host의 동사형, 끌어올리다 변수의 선언부가 끌어올려짐 범위에따라 선언 ,할당 분리 선언문은 자바스크립트 엔진 구동시 가장 먼저 해석 변수 함수 내 => 함수 최상위 선언 변수 함수 바깥 => 전역 컨텍스트 최상위 함수 호이스팅 함수 표현식 : 호이스팅 되지 않음 ex) var a = function(){}... 함수 선언식 : 호이스팅 됨 ex) function a(){} 참조 사이트 https://asfirstalways.tistory.com/197 primiti..
animation transition 프로퍼티 변경에 따른 일시적 시간 후에 변화 animation animation-name : 애니메이션 이름 animation-duration : 0s 진행 초 animation-delay : 0s 웹사이트 열리고 몇 초 후 진행 animation-timing-function: // ease : 느림 // ease-in : 느리다가 빨라짐 animation-fill-mode : //forwards: 진행 후 멈춤 animation-iteration-count : 애니메이션 재생 횟수 //infinite 무한 반복 @keyframes 이름 { from { 시작점 } to{ 끝에 바뀔것 }
vscode 기본 터미널 변경 ctrl + shift +p Termibal: Select Default Shell 선택 git Bash 클릭으로 변경
DOM DOM 플랫폼, 언어와 관게없이 독립적인 인터페이스 XML ,HTML 문서를 트리구조로 표현한 문서 DOM과 HTML의 차이점 HTML 화면에 보이고자하는 모양, 구조를 문서로 만든것 최초의 화면을 그릴때 이용한 설계도 DOM 실제로 화면에 표현된것들 설계도를 이용해서 만든 실물 화면 조작, 웹페이지 만질 수 있음 => 인터페이스라고 부름 node 하나의 단위, 요소 들을 표현시 씀 tree structure node가 하위 node들을 가지면서, 반대로 뒤집었을시에 나무가 뿌리에서 가지를 뻗어가는 모양과 유사 DOM Element 선택 querySelector CSS선택자에 해당하는 첫번째 요소를 가져옴 =>1개 리턴 querySelectorAll CSS선택자에 해당하는 모든 DOM Element들을 ..
javascript 1 undefined : 값이 정의 되지 않음 null : 의도적으로 값이 없음 표현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거면 의도적으로 null 사용 항상 === , !== 사용 typeof : 어떤 자료형인지 타입 알려줌 //결과값 항상 문자열 자료형 7가지 string , number , boolean , null , underfined , object ,Symbol Falsy underfined , null , 0 , -0 , NaN , false , '' , "" //이외의 값은 모두 Truthy >논리연산자 || : or 하나라도 값이 맞다면 true 반환 왼쪽부터 true 찾아서 해당 값 반환 값이 false일 경우 마지막 값 반환 && : and 둘다 값이 충족되어야 true 반환 왼쪽부터 false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