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2)
async 문제 메모 ----과제 빠르게보다 꼼꼼하게 아이디, 비밀번호 재설정 https://puzi.tistory.com/10 ------------ each ( 반복자 , 반복자에 적용할 비동기함수, 끝나고 호출 될 함수 ) 반복자 적용 비동기함수 인덱스는 반복자에 전달 x 인덱스 필요하면 eachOf 사용 옵션함수 , 끝나고 호출 => 반복자 함수가 끝나거나, 에러인경우 호출 순서대로 완료된다는 보장 없다. ----- 1. 컬렉션 모두 반복자 실행 ㅇ 2. 성공 => 반복자의 콜백함수 실행 에러=> 최종콜백 에러 실행 coll 요소 반복자 모두 성공시 => 최종콜백 실행 // 에러나면 모든 처리 중지 // coll 비어있으면 바로 콜백 실행 ----- 문제) iteratee : 컬렉션에 적용할 비동기함수 어떻게 비동기화..
branch ----branch git checkout -b 생성이름 //생성과 이동 code . //프로젝트 오픈 git branch //브랜치 목록들 확인
Big-O notation 알고리즘의 효율성 시간 복잡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 ) 알고리즘 수행 속도가 얼마나 빠르냐 //입력이 n일때 연산횟수 알고리즘 속도 비교시 입력을 똑같이 n이라고 가정 후 연산 횟수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는것이 Big O 공간 복잡도 메모리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느냐 Big-O notation ( 대문자 O 표기법) 알고리증 성능 수학적 표현 표기법 시간, 공간 복잡도 표현 장기적으로 데이터 증가에 따른 알고리즘 성능 예측하는것이 목표 * 상수는 과감하게 버린다 // 상수는 고정된 숫자라서 , 고정된 상수 만큼의 영향만 끼치기 때문에 속도 비교 O(1)
정렬 알고리즘 정렬 알고리즘 중요한 이유 탐색을 도와줌 //빨리 찾기 위함 버블정렬 두 숫자를 비교, 큰 숫자를 오른쪽으로 정렬 outer 루프 한번 돌때마다 ele 최종위치 확정 핵심) 배열길이 -1번 도는데 각 루프마다 몇번 정렬할건지 선택정렬 기준을 정하고 모두 비교 후 최소값을 찾는다. 기준보다 최소값이 더 작으면 최소값과 다른 값 비교 마지막에 기준을 임시변수에 넣는다. 다음 루프에서는 1번째부터 검사 삽입정렬 처음 2개의 값 정렬후, 배열 크기만큼 ele 1개씩 추가해서 추가요소와 이전 요소들 비교해서 이전요소가 크면 다음 인덱스로 갚이 밀리고 추가요소보다 작은 값을 발견하면 그 앞에 추가요소가 들어감 합병정렬 merge sort 하나의 list를 1이 될때까지 2로 나눈다. 옆에 있는 그룹과 병합하여 1개..
자료구조 자료구조 메모리를 어떻게 구조를 만들어서 사용할 것인가? 메모리 안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해 만들어진 데이터 참조방식 Stack Last In First Out (LIFO) 제일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제일 먼저 나간다 ex) ctrl + z , 햄버거 놀이 스택 구현 함수 1차원 배열 : Push, Pop 리스트 Queue First In First Out (FIFO) 제일 처음 들어온 데이터가 제일 빨리 나간다. ex) 줄 선 순서대로 처리, 프린터 출력 처리 정적인 어레이 장점 : 구현이 쉽다 단점 : 고정된 Queue 크기 동적인 어레이 장점: 자유로운 Queue 크기 단점 : 구현이 어렵다 대표 함수 Enqueue : Queue에 값을 집어 넣는다 Dequeue : Queue에서 값을..
바닐라코딩 부트캠프 테스트 해당 주제에 대해서 개념은 숙지하고 있지만 활용과 실험, 사용 경험이 적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많이 헤맨 것 같다. - 결론 학습후에 충분한 훈련을 하자. 적게 배워서 최대한으로 활용하자 //이고잉
display display : 어떻게 표시 할지 정함 visibility : 요소를 보이게 할지 정함 display inline : 앞 뒤로 줄바꿈이 되지 않는다. //가로로 정렬 block : 요소 앞 뒤로 줄바꿈이 가능하다. none : 박스 생성X, 공간 차지 X //공간이 사라진다 inline-block : 요소는 inline, 내부는 block //참고 블로그 https://aboooks.tistory.com/85
Class constructor에서 super()의 사용 constructor 안에서 super() 꼭 사용해야한다. //super() 가 불리지 않으면, this가 초기화 되지 않는다. super(props) Constructor안에서 this.props 접근하려면 사용해야 한다, 참고 블로그 https://medium.com/@umioh1109/react-es6-class-constructor%EC%97%90%EC%84%9C%EC%9D%98-super-9d53ba0611d9